지금은 CCUS에 집중해야 할 시간!

국가 간 에너지 정책 협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지난달 <CCUS를 시작해야 할 때(It is time for CCUS to deliver)>란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IEA의 ‘CCUS를 시작해야 할 때’ 보고서 읽기(바로가기)

이 보고서는 ‘CCUS가 넷제로 달성에 필수적’이라며 ‘CCUS 시행 비중을 높이기 위한 국가별 정책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넷제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CCUS 시행 소요 시간이 더욱 줄어들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 자세한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넷제로 달성? CCUS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 가속화할 때

IEA 보고서에서는 ‘CCUS가 탈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IEA 2050 넷제로 시나리오[1]의 2030년 이산화탄소 포집 목표 용량에 도달하려면 이산화탄소 포집에 더욱 속도를 내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10년 동안 이산화탄소 포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CUS 성과는 대체로 저조했다고 지적합니다.

[1] ‘IEA에서 발간한 Net Zero Emission by 2050(NZE) Scenario(2050 넷제로 시나리오).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C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는 ‘파리기후변화협정’ 목표에 부합하는 에너지 부문의 경로를 제시하고 있음.

이번 IEA 보고서에서 인용된 CCUS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전 세계 45개국 이상에서 지난 2023년과 2024년에 발표된 CCUS 프로젝트는 총 243건에 달합니다. 발표된 프로젝트가 모두 구축되면 2030년까지 매년 약 4억 톤의 이산화탄소 포집이 가능합니다. 이는 2022년보다 8배 이상 증가한 수치지만 넷제로 시나리오에서 2030년 요구하는 10억 톤의 40% 정도 밖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이에 보고서는 ‘CCUS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금’이 필요한 때이며 최종투자결정을 거쳐 CCUS 프로젝트가 실제 작동하는 데 드는 시간을 평균 6년에서 4년으로 단축할 필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CCUS 시행 향한 세계 각국의 다양한 정책들

IEA 보고서는 CCUS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별 정책들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작년 말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및 제거 기술에 중점을 둔 ‘탄소 관리 전략(Carbon Management Strategy)’을 내놓았습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GHG)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0~45%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 경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 위원회(EC)는 올해 초, 산업 탄소 관리 전략(Industrial Carbon Management Strategy)을 발표, 유럽 내 이산화탄소 마켓의 단일 시장 구축 목표를 밝혔습니다. 이는 ‘2030년까지 적어도 5천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2040년까지 2억 8천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21년 미국은 2026년까지 CCUS 밸류체인 전반에 약 120억 달러를 제공하는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법(IIJA)를 통과시켰습니다. 또 2022년에는 인플레이션 감소법(IRA)을 통해 ‘45Q tax credit’ 즉, CCUS 프로젝트에 대한 세제 혜택 금액을 증가시켰습니다. 산업 배출원에서 직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지질 저장하는(CCS) 경우 톤당 85달러, 석유 회수 증진(EOR: Enhanced Oil Recovery[2]) 혹은 다른 산업용으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톤당 60달러, DAC[3]을 통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지질 저장하는 경우 톤당 180달러의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두 법안을 통해 2020~21년 83개였던 CCUS 프로젝트가 2022~23년 166개로 2배가량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2] 석유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노후 유전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석유 생산량을 늘리는 공정.
[3] Direct air capture,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직접적으로 포집하는 기술.

이번 IEA 보고서에서 언급한 예시 외에도 오늘날 세계 각국은 다양한 CCUS 관련 정책들을 펼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CCS 혁신 기금을 통한 프로젝트 지원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유럽연합 배출권 거래제(EU ETS) 및 개별 회원국의 추가 정책 계획과 결합돼 CCS 기술에 대한 지원 정책 환경을 강화하는 효과를 냈습니다. 덴마크는 CCS에 50억 유로의 보조금 지원을 발표했고, 노르웨이는 3개의 대형 블루수소[4] 프로젝트를 돕기 위해 10억 NOK(1억 달러)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4]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화석연료를 개질해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CCUS(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 기술을 활용해 제거한 수소

우리나라 역시 CCUS 시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2월에는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안(CCUS법)을 제정하며, 40여 개의 개별법에 산재한 CCUS 관련 규제를 하나로 통합했습니다. 이를 통해 CCUS 관련 산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육성하겠다는 목적입니다.

CCUS 보급을 위한 세계 각국의 주요 정책들

CCUS 시행 증대를 위한 제언

IEA 보고서는 ‘여러 국가에서 CCUS 관련 정책을 지원 중이지만 넷제로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며 CCUS 시행 증대를 위한 해결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1. 즉각적인 이행. 정부의 정책 지원금을 신청할 때는 그 절차가 엄격할 수밖에 없습니다. 공공(公共) 자금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점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보고서는 ‘정부가 지원금을 전달하고 기업이 이를 사용하는 데 있어 신속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선 정부는 정책 지원금을 제공할 때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을 배치하고 빠르게 신청서를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2. 파트너십 구축. 보고서는 ‘파트너십 구축 및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일례로 ‘고객 및 생산품 구매자와 프로젝트 초기부터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최종투자결정에 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파트너십은 설계∙조달∙시공 등을 진행(EPC)하는 사업자와도, 투자자와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3. 정부의 허가. 끝으로 보고서는 정부가 구체적인 허가 승인 일정을 수립하고, 허가 신청의 모범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행정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 말합니다. 더불어 CCUS 프로젝트 개발자도 개발 초기 단계부터 여러 이해관계자 및 지역 사회 등과의 협력을 통해 서로의 이익을 보장하고 문제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입니다. 기업 또한 가능한 한 빠르게 허가를 신청함으로써 시간 단축을 진행해야 한다고 제언합니다.

SK E&S가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이상으로 IEA 보고서를 통해 넷제로를 위한 CCUS의 필요성 및 빠른 시행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제언을 살펴보았습니다.

SK E&S 또한 CCUS가 넷제로를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로 보고 있습니다. SK E&S는 2040년 넷제로 달성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약 70%를 CCUS 기술 적용을 통해 직접 감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현재 개발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에서 CCS 기술을 적용한 저탄소 LNG를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는 생산 종료를 앞둔 바유운단 가스전에 저장할 계획입니다. 또한 보령 LNG터미널 인근에 블루수소 플랜트를 건설, CCUS를 통한 청정수소 생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에는 세계 최대규모의 CCS 프로젝트인 美 써밋(Summit) 참여를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SK E&S는 CCUS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탄소감축은 물론 우리나라의 에너지 안보에도 적극 기여하고자 합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SK E&S의 끊임없는 도전에 많은 격려 부탁드립니다.